보유세2 보유세를 줄이는 노하우 6월 1일 세법은 재산세와 종합부동산세의 과세 날짜를 매년 6월 1일로 정하고 있습니다. 해당 일 소유자에게 재산세와 종합부동산세를 부과하고 있는 것입니다. 문제는 1년 치 전부를 부과합니다. 예를 들어 a가 b의 아파트를 사서 5월 말에 소유권을 이전을했다면 6월 1일 등기부등본의 소유자는 a로 나옵니다. 그 전까지 매도자 b가 해당 아파트를 소유하고 있었는데요 과세 기준일 소유자인 a가 내야 됩니다. 매수자의 입장이라면 어떻게든 부동산 취득일자를 6월 1일 이후로 미뤄야 합니다. 매도자 입장이라면 반대로 해야 됩니다. 만약 매수자, 매도자 모두가 이러한 사실을 잘 알고 있다면 거주 기간을 기준으로 분할하여 서로가 부담하자고 제안하는게 좋습니다. 처음부터 계약 날짜를 내게 유리하도록 하는 방법도 있습니.. 2021. 1. 2. 취득세, 보유세 기본 구조 취득세 법은 일정한 자산을 취득하면 이에 대해 조세를 부과하는데 이때 발생하는 세금을 취득세라고 한다. 부동산 외에도, 차량, 기계장비, 선박 등 다양한 자산을 취득할 경우에 해당 자산의 취득자에게 취득세를 부과한다. 같은 자산이라도 명의만 이전되어도 취득세가 부과된다는 것을 유의해야 한다. 예를 들어 아파트를 배우자에게 증여할 경우 증여세가 적게 나오거나 비과세라 해도 취득세는 별도 납부해야 된다. 부동산의 종류와 금액에 따라 취득세가 각각 다른데 특히 2020년부터는 주택 취득세에 있어 많은 부분이 개정되었으니 주의가 필요하다. 주택을 살 때 실제로 취득세를 직접 납부하는 경우는 드물다. 보통 해당 주택을 소개해준 부동산이나 담보 대출을 해주는 은행이 소개한 법무사에게 맡기기 때문이다. 요즘에는 주택.. 2020. 12. 30. 이전 1 다음